책쓰기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첫 단계로 책쓰기에 관한 책들을 읽기로 했다. 안 하던 글쓰기를 하는 것보다 평소에 하던 독서를 하는 게 맘이 더 편했다. 《파워블로그의 첫걸음, 블로그 글쓰기》와 《탁구영의 책 한권 쓰기》 다음으로 《책 한번 써봅시다》을 읽었다. 저자는 책이 중심이 되는 사회가 되면 좋겠다고 하면서 모든 사람이 책을 쓸 수 있다고 얘기한다. 나는 이 책을 읽고 다음과 같은 궁금증들을 해결할 수 있었다. 몇 가지에 대해선 이미 블로그에 포스팅했고 좋다고 생각했던 부분들을 더 포스팅할 계획이다. 책은 왜 쓰는 걸까? 책을 써서 뭐하지? 시간 낭비하는 건 아닐까? 나도 쓸 수 있을까? 글쓰기에 대한 많은 지침들은 모두 지켜야만 하는 걸까? 그럼 어떻게 쓰는 게 좋은가? 영감은 어디서 얻는 걸까?..
책 써서 뭐하나? 책을 쓰는 게 어떤 도움이 될까? 책을 쓴다고 바뀌는 게 있을까? 이런 질문을 스스로 안 해본 게 아니다. 《책 한번 써봅시다》를 읽다가 지금 나에게 딱 필요했던 구절이 있었다. "책 써서 뭐 하려고?"라는 질문 우리는 낚시가 취미인 사람에게 "낚시를 뭐 하러 해요? 클릭 몇 번이면 싱싱한 생선을 산지 직송으로 배송 받을 수 있는데"라고 따지지 않는다. 골프가 취미인 사람에게 "골프를 뭐 하러 치세요? 프로가 되시기에는 이미 늦었잖아요"라고 묻지 않는다. "프로 골퍼라도 세계 랭킹 100위 밖이면 일반인은 알지도 못하는데요"라고 말하지도 않는다. 정작 낚시나 골프 애호가들은 그런 질문을 받더라도 당당하게 대답할 것이다. "제가 좋아서 하는 건데요"라고. 그 손맛, 그 희열을 느끼기 위해..
책 쓰기는 아주 독특한 충족감을 준다. 사실 나는 책 쓰기를 비롯한 창작 행위가 인간의 본능이라고 믿는다. ... 살면서 맛볼 수 있는 기쁨 중에는 세상에 없던 것을 창조하는 데서 오는 즐거움도 있다. ... 창작의 욕망을 억지로 누르면 어떻게 될까. 나는 현대사회에 만연한 공허감이 바로 그 결과라고 생각한다. 요즘 한국 사회는 어느 연령대, 어느 세대를 봐도 '내가 여기서 뭘 하는지 모르겠다'는 고민을 하는 사람이 많다. 누구나 부러워하는 직장에 다니고 객관적인 조건이 나쁘지 않은데도 공허함을 토로하는 젊은이도 있고, 중년에 이르러 허무함을 못 견디겠다며 뒤늦게 일탈하는 이도 있다. 그런 정체성 위기는 자기 인생의 의미, 자신이 만들어내는 일의 가치를 확신하지 못할 대 온다고 생각한다. 인간에게는 '지..
아이슬란드에서는 책을 한 권 이상 출간한 사람이 전체 인구의 10퍼센트나 된다고 한다. 아이슬란드 사람들은 정보를 TV보다 책으로 얻기를 좋아한다. 《책 한번 써봅시다》중에서... 《책 한번 써봅시다》의 저자는 책이 중심에 있는 사회를 꿈꾼다. 처음에 소개한 것처럼 아이슬란드에서 책을 한 권 이상 출간한 사람이 전체 인구의 10퍼센트나 된다고 한다. 아이슬란드 인구가 32만 명 정도라고 하니 10퍼센트면 무려 3만 2천명 정도의 사람이 저자라는 소리다. 정말 멋진 나라다. 우리나라는 독자도 많지 않을 뿐더러 저자는 그 중에서도 극소수이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모두다 생각해보지 않았을까? 나도 나만의 책을 내고 싶다. 저자가 되고 싶다. 이 책에선 책쓰기에 대한 여러가지 이야기가 담겨있다. ..
책쓰기를 목표로 하고 읽고 있는 책 중에 장강명 작가의 《책 한번 써봅시다》를 거의 다 읽었다. 좋은 내용이 많았지만 그 중에서도 아래 두 가지 내용이 많은 도움이 됐다. 바로... 솔직한 글쓰기와 개성 있는 글쓰기 여기에선 장강명 작가가 얘기하는 글을 솔직하게 써야 하는 이유와 방법을 소개한다. 에세이 쓰기에 대한 내용이지만 블로그나 일기에 글을 쓸 때에도 좋은 내용인 것 같다. 독자들은 책을 통해 힐링하고 싶어한다. 책으로 치유하고 싶어한다. 독자들에게 힐링을 주는 책을 쓰는 방법은 결국 솔직한 글쓰기라고 얘기한다. 솔직한 글쓰기는 자신을 돌아보는 계기가 되고, 자기 자신이 첫 번째 독자가 됨으로써 자신을 먼저 치유한다. 무엇보다 독자는 허위와 가식을 기막히게 알아차린다. 그러니 어쩔 수 없다. 솔직..
《탁구영의 책 한권 쓰기》는 소설 형식의 자기계발서이다. 이런 형식의 자기계발서를 좋아한다. 쉽고 편하게 읽을 수 있고 무엇보다도 재미가 있다. 이번이 세 번째 완독인 것 같다. 처음 읽게 된 건 아마도 직장 생활을 한지 3년째 되는 해인 것 같다. 읽자마자 책을 쓰고 싶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다. 핑계지만 중소기업의 개발자로 잠도 부족한 상황에서 시작조차 하지 못했다. 그리고 두 번째는 잘 기억은 안 나지만 회사에서 이직을 생각하고 있을 때였던 것 같다. 이직을 해야 할지 창업을 해야 할지 확실하게 정하지 못했다. 미래에 대해 이것 저것 생각해보면서 책쓰기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책 한권 쓰기를 올해 목표로 정하면서 자연스럽게 또 한번 읽게 되었다. 이미 읽은 내용이라서 더 쉽고 ..
올해 목표 중에 하나로 책을 한번 써보기로 했다. 사실 오래전부터 생각해왔던 건데 이번엔 진짜로 한번 도전해 보려고 한다. 책을 쓰기 전에 책쓰기와 관련된 책들을 몇권 읽어보기로 했다. 책을 읽어보고 중요한 부분들은 정리해서 블로그에 올리려고 한다. 아래 북리스트를 모두 읽어보고 몇권 더 추가할 수도 있다. 현재까지 두권의 책을 읽었다. 책쓰기에 대한 용기를 많이 얻었다.읽어볼 책쓰기 관련 책들!파워블로그의 첫걸음, 블로그 글쓰기 (완독)탁구영의 책 한권 쓰기 (완독)책 한번 써봅시다출판사가 OK하는 책쓰기개발자의 글쓰기책 한번 써봅시다출판사 에디터가 알려주는 책쓰기 기술 (정보가 더 필요한 경우)▒ 책쓰기 관련된 좋은 책이 있으면 댓글로 추천해주세요!! :-) 파워블로거 핑크팬더의 블로그 글쓰기글쓰기를..
블로그를 다시 시작하고, 올해 목표인 책 쓰기를 위해서 관련된 책들을 읽기로 했다. 다음은 책 쓰기를 위해 읽으려고 생각한 북리스트다. 파워블로그의 첫걸음, 블로그 글쓰기 (이번에 완독함) 탁구영의 책 한권 쓰기 (다시 읽어보기) 개발자의 글쓰기 출판사가 OK하는 책쓰기 출판사 에디터가 알려주는 책쓰기 기술 이 중에서 첫 번째로 「파워블로그의 첫걸음, 블로그 글쓰기」를 읽었다. 금요일부터 읽기 시작한 것 같은데 3일 동안 완독했다. 이재범 저자는 '핑크팬더'라는 닉네임으로 블로그 '천천히 꾸준히'에 글을 꾸준히 포스팅 함으로써 여러 분야의 책들을 출판한 블로거다. 내가 가려는 길과 비슷한 길을 먼저 간 사람의 조언을 듣고 싶었다. 책 전반에 걸쳐서 독자의 블로그 글쓰기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주기 위한 많은..
2021년 목표 중에 하나로 적었던 책 쓰기를 진짜로 시작해 보려고 한다. ROHC에 관한 책을 쓰려고 했던 건 굉장히 오래 됐다. 첫 회사를 전문연구요원으로 외국계 중소기업에 다녔다. 그리고 나의 첫 프로젝트가 ROHC library 개발이었다. 그러면서 「탁구영의 책 한권 쓰기」라는 책을 읽게 되었고, 나도 내 분야에서 책 한권을 꼭 한번 써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그 중 내가 그 당시 가장 자신있었던 ROHC에 대해 쓰고 싶어졌었다. 그게 벌써 7년도 넘은 것 같은데 생각만 하고 글 한번 쓰지 않았는데 올해는 진짜로 한번 써보려고 한다. 나중에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 회사를 다니게 되면 좋은 점에 대해서도 포스팅을 해보려고 한다. 이 ROHC library 개발도 중소기업이 아니었으면 어떻..